GKE Standard 클러스터에서 Autopilot 워크로드 실행


클러스터 관리자와 애플리케이션 운영자는 표준 모드 클러스터에서 가격 책정 및 사전 구성된 설정과 같은 Google Kubernetes Engine (GKE) Autopilot의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ComputeClasses를 사용하여 Standard 클러스터에 Autopilot 워크로드를 배포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다음 개념에 익숙해야 합니다.

Autopilot ComputeClass 정보

GKE는 다른 Kubernetes 리소스와 마찬가지로 클러스터에 배포할 수 있는 ComputeClasses라는 Kubernetes 커스텀 리소스를 제공합니다. ComputeClass는 머신 유형이나 스팟 VM과 같은 노드 구성 목록을 정의합니다. 워크로드에서 ComputeClasses를 선택하여 새 노드가 목록의 구성 중 하나를 사용해야 한다고 GKE에 알릴 수 있습니다.

워크로드에서 autopilot 필드가 사용 설정된 ComputeClass를 선택하면 GKE는 Autopilot 모드로 포드를 실행합니다. GKE에서 만드는 노드는 Google에서 관리하며 기본 Autopilot 기능과 보안 설정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워크로드를 배포할 때 알 수 있는 차이점을 비롯하여 Standard 클러스터에서 Autopilot 워크로드를 실행할 때의 영향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GKE Standard의 Autopilot 모드 워크로드 정보를 참고하세요.

Autopilot ComputeClass 유형

GKE는 대부분의 범용 워크로드에 사용할 수 있는 기본 제공 Autopilot ComputeClass를 제공합니다. Autopilot 모드를 사용하도록 새 또는 기존 커스텀 ComputeClass를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사용하는 Autopilot ComputeClass 유형은 워크로드에 특정 하드웨어가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라집니다.

  • 범용 워크로드: 포드를 컨테이너 최적화 컴퓨팅 플랫폼에 배치하는 기본 제공 Autopilot ComputeClass 중 하나를 사용합니다.
  • 특정 하드웨어가 필요한 워크로드: 맞춤 ComputeClass에 Autopilot 모드를 사용 설정하고, 해당 ComputeClass를 클러스터에 배포하고, 워크로드에서 해당 ComputeClass를 선택합니다.

이러한 옵션, 옵션 사용 시기, 각 옵션의 가격 책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utopilot ComputeClasses의 하드웨어 선택을 참고하세요.

가격 책정

GKE Autopilot 가격은 Autopilot ComputeClass를 사용하는 워크로드 및 노드에 적용됩니다. 적용되는 가격 책정 모델은 기본 제공 Autopilot ComputeClass를 사용하는지 아니면 맞춤 Autopilot ComputeClass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자세한 내용은 'GKE Standard의 Autopilot 모드 워크로드 정보'의 가격 책정을 참고하세요.

시작하기 전에

시작하기 전에 다음 태스크를 수행했는지 확인합니다.

  • Google Kubernetes Engine API를 사용 설정합니다.
  • Google Kubernetes Engine API 사용 설정
  • 이 태스크에 Google Cloud CLI를 사용하려면 gcloud CLI를 설치한 후 초기화하세요. 이전에 gcloud CLI를 설치한 경우 gcloud components update를 실행하여 최신 버전을 가져옵니다.
  • 버전 1.33.1-gke.1107000 이상을 실행하고 빠른 출시 채널에 등록된 GKE Standard 클러스터를 사용합니다. 새 클러스터를 만들려면 리전 클러스터 만들기를 참고하세요.
  • 워크로드 거부를 방지하려면 Autopilot의 요구사항과 보안 제약사항을 알아보세요. 자세한 내용은 Autopilot 노드의 사전 정의된 설정을 참고하세요.

요구사항

  • 클러스터에 있는 노드 풀 중 1개 이상에 노드 taint가 없어야 합니다.

    이 노드 풀은 GKE가 해당 노드에 추가하는 taint로 인해 Standard 클러스터의 Autopilot 노드에서 실행할 수 없는 GKE Standard 시스템 포드를 실행하는 데 필요합니다.

  • 보안 GKE 노드는 필수이며 기본적으로 사용 설정되어 있습니다.

  • VPC 기반 클러스터를 사용해야 합니다.

제한사항

  • 신속 출시 채널만 지원됩니다.
  • 클러스터의 기존 ComputeClass 리소스를 업데이트하여 Autopilot 모드를 사용하려면 업데이트된 사양으로 해당 ComputeClass를 다시 만들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기존 커스텀 ComputeClass에 Autopilot 사용 설정을 참고하세요.
  • 자체 ComputeClasses에서는 podFamily 우선순위 규칙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규칙은 기본 제공 Autopilot ComputeClasses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기본 제공 Autopilot ComputeClass는 전체 클러스터에 대해 Confidential GKE Node를 사용 설정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클러스터에 컨피덴셜 GKE 노드를 사용 설정하면 기본 제공 Autopilot ComputeClass를 선택하는 새 포드가 무기한 Pending 상태로 유지됩니다.

필수 역할 및 권한

ComputeClass를 배포하는 데 필요한 권한을 얻으려면 관리자에게 클러스터 또는 프로젝트에 대한 Kubernetes Engine 개발자 (roles/container.developer) IAM 역할을 부여해 달라고 요청하세요 . 역할 부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프로젝트, 폴더, 조직에 대한 액세스 관리를 참조하세요.

커스텀 역할이나 다른 사전 정의된 역할을 통해 필요한 권한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워크로드에서 Autopilot ComputeClass 선택

워크로드에서 Autopilot ComputeClass를 선택하려면 cloud.google.com/compute-class 라벨에 노드 선택기를 사용하세요. 이는 GKE에서 다른 ComputeClass를 선택하는 데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라벨입니다. 다음 단계에서는 ComputeClass를 선택하는 예시 배포를 만들고 포드가 Autopilot 모드로 실행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1. 다음 예시 배포를 autopilot-cc-deployment.yaml로 저장합니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helloweb
      labels:
        app: hello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hello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hello
        spec:
          nodeSelector:
            # Replace with the name of a compute class
            cloud.google.com/compute-class: COMPUTE_CLASS 
          containers:
          - name: hello-app
            image: us-docker.pkg.dev/google-samples/containers/gke/hello-app:1.0
            ports:
            - containerPort: 8080
            resources:
              requests:
                cpu: "250m"
                memory: "4Gi"

    COMPUTE_CLASS를 사용할 컴퓨팅 클래스의 이름으로 바꿉니다. 이 값은 다음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2. 워크로드를 배포합니다.

    kubectl apply -f autopilot-cc-deployment.yaml
    
  3. 포드가 Autopilot을 사용하는지 확인하려면 호스트 노드 이름을 확인하세요.

    kubectl get pods -l=app=hello -o wide
    

    출력은 다음과 비슷합니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NOMINATED NODE   READINESS GATES
    helloweb-79b9f6f75-5wwc9   1/1     Running   0          152m    10.102.1.135   gk3-cluster-1-nap-10abc8ya1-f66c6cef-wg5g   <none>           <none>
    helloweb-79b9f6f75-9skb9   1/1     Running   0          4d3h    10.102.0.140   gk3-cluster-1-nap-10abc8ya1-632bac02-hjl6   <none>           <none>
    helloweb-79b9f6f75-h7bdv   1/1     Running   0          152m    10.102.1.137   gk3-cluster-1-nap-10abc8ya1-f66c6cef-wg5g   <none>           <none>
    

    이 출력에서 노드 열의 gk3- 접두사는 노드가 Autopilot에 의해 관리됨을 나타냅니다.

커스텀 Autopilot ComputeClass 구성

Autopilot을 사용하도록 커스텀 ComputeClass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워크로드를 최적으로 실행하는 데 GPU 또는 특정 Compute Engine 머신 시리즈와 같은 특정 하드웨어가 필요한 경우 맞춤 Autopilot ComputeClass를 사용하세요.

워크로드에 특정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대신 기본 제공 Autopilot ComputeClass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 제공 Autopilot ComputeClass를 선택하려면 위의 워크로드에서 Autopilot ComputeClass 선택 섹션을 참고하세요.

새 맞춤 Autopilot ComputeClass 만들기

  1. 다음 예시 ComputeClass 매니페스트를 autopilot-n2-class.yaml로 저장합니다.

    apiVersion: cloud.google.com/v1
    kind: ComputeClass
    metadata:
      name: autopilot-n2-class
    spec:
      autopilot:
        enabled: true
      priorities:
      - machineFamily: n2
        spot: true
        minCores: 64
      - machineFamily: n2
        spot: true
      - machineFamily: n2
        spot: false
      activeMigration:
        optimizeRulePriority: true
      whenUnsatisfiable: DoNotScaleUp
    

    이 매니페스트에는 다음 필드가 포함됩니다.

    • autopilot: ComputeClass의 Autopilot 모드를 사용 설정합니다. Autopilot 클러스터에 배포하는 ComputeClass에서 이 필드를 지정하면 GKE는 이 필드를 무시합니다.
    • priorities: 서로 다른 세 가지 N2 머신 제품군 구성의 배열을 정의합니다.
    • activeMigration: 리소스가 사용 가능해지면 GKE가 우선순위 목록에서 더 높은 구성으로 포드를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 whenUnsatisfiable: 이 필드의 DoNotScaleUp 값으로 인해 GKE가 새 노드에 priorities 필드의 규칙 중 하나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우선순위 규칙 중 어느 것도 충족할 수 없는 경우 GKE는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포드를 Pending 상태로 둡니다. DoNotScaleUp은 이 필드의 기본값이자 권장 값입니다.
  2. ComputeClass를 배포합니다.

    kubectl apply -f autopilot-n2-class.yaml
    
  3. ComputeClass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kubectl get computeclasses
    

    출력은 다음과 비슷합니다.

    NAME                  AGE
    autopilot-n2-class    3s
    

기존 맞춤 ComputeClass에 Autopilot 사용 설정

Standard 클러스터에 있고 사양의 nodePoolAutoCreation.enabled 필드가 true로 설정된 기존 커스텀 ComputeClass에서 Autopilot을 사용 설정할 수 있습니다. Autopilot 클러스터에 있는 컴퓨팅 클래스에서 Autopilot을 사용 설정해도 전체 클러스터가 Autopilot 모드를 사용하므로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기존 ComputeClass에 Autopilot을 사용 설정하면 GKE는 Autopilot을 사용하여 ComputeClass를 선택하는 새 포드를 실행합니다. Autopilot ComputeClass를 선택하는 Standard 노드에 기존 포드가 있는 경우 해당 포드는 다시 생성될 때만 Autopilot을 사용합니다.

Autopilot 모드를 사용하도록 기존 맞춤 ComputeClass를 업데이트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1. 텍스트 편집기에서 기존 ComputeClass의 매니페스트 파일을 업데이트하여 spec.autopilot 필드를 추가합니다.

    spec:
      autopilot:
        enabled: true
    
  2. Kubernetes API의 기존 ComputeClass 리소스를 업데이트된 사양으로 바꿉니다.

    kubectl replace --force -f PATH_TO_UPDATED_MANIFEST
    

    PATH_TO_UPDATED_MANIFEST을 업데이트된 매니페스트 파일의 경로로 바꿉니다.

  3. 새 노드 생성을 트리거하려면 컴퓨팅 클래스를 사용하는 워크로드를 다시 만드세요.

업데이트된 매니페스트를 적용하면 GKE가 이 ComputeClass에 대해 만드는 노드는 Autopilot을 사용합니다. GKE는 업데이트 전에 생성된 기존 노드를 수정하지 않습니다.

워크로드에서 Autopilot을 사용하는지 확인

  • kubectl get 명령어를 사용하여 클러스터의 포드 목록을 가져옵니다.

    kubectl get pods --output=custom-columns=Pod:.metadata.name,Node:.spec.nodeName
    

    출력은 다음과 비슷합니다.

    Pod                         Node
    helloweb-84c865764b-nzhxt   gk3-cluster-1-pool-3-68fc8dca-t54b
    # lines omitted for clarity
    

    노드 이름의 gk3- 접두사는 포드가 Autopilot 모드에서 실행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기본적으로 Autopilot ComputeClass 적용

GKE를 사용하면 ComputeClass를 네임스페이스의 기본값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네임스페이스 기본 클래스는 다른 ComputeClass를 명시적으로 선택하지 않는 해당 네임스페이스의 모든 포드에 적용됩니다. Autopilot ComputeClass를 기본값으로 설정하면 워크로드에서 다른 옵션을 선택하지 않는 한 기본적으로 네임스페이스의 모든 포드를 Autopilot 모드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네임스페이스의 기본 ComputeClass 구성을 참고하세요.

다음 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