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NAT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주소 변환 설정 및 관리

이 페이지에서는 Public NAT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Public NAT를 설정하기 전에 Public NAT 개요를 참고하세요.

않습니다.

제한사항

  • Cloud NAT 게이트웨이에 자동으로 할당된 IP 주소의 네트워크 등급을 변경하면 이전 IP 주소의 모든 연결이 즉시 해제됩니다.

  • 수동 NAT IP 주소 할당을 사용하고, Cloud NAT에 사용되는 IP 주소를 변경하는 경우, 오래된 IP 주소의 모든 연결이 즉시 닫힙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NAT와 연결된 외부 IP 주소 드레이닝을 참조하세요.

  • 정적 포트 할당을 사용하여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구성하고 가상 머신 (VM) 인스턴스당 최소 포트를 줄이는 경우 설정된 NAT 연결이 끊어질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VM당 포트 줄이기를 참조하세요.

  • 동적 포트 할당을 사용하여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구성하고 추가 구성을 변경하는 경우 설정된 NAT 연결이 끊어질 수 있습니다. 구성이 변경되면 각 VM에 현재 할당된 포트 수가 일시적으로 구성된 최소 개수로 재설정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VM당 포트 줄이기를 참조하세요.

  • 동적 포트 할당을 사용하여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구성하고 동적 포트 할당을 사용 중지하는 경우 NAT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모든 VM 연결이 닫힙니다. 자세한 내용은 포트 할당 전환 방법을 참조하세요.

  • 엔드포인트 독립 매핑이 사용 설정되면 동적 포트 할당 또는 NAT 규칙을 구성할 수 없습니다.

  • Cloud NAT는 IP 조각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Cloud NAT 구성은 Virtual Private Cloud(VPC) 네트워크에 연결됩니다. 따라서 해당 네트워크의 서브넷에 속하는 모든 리소스에 구성이 적용됩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할 특정 VM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 Cloud NAT는 Compute Engine VM 인스턴스의 IPv6에서 IPv4로의 변환(미리보기)을 지원합니다. Google Cloud CLI를 사용하여 이 옵션을 구성하거나 관리하려면 다음 두 가지 모두에 gcloud compute routers nats 명령어의 베타 버전인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를 사용해야 합니다.

    • IPv6를 IPv4로 변환하는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고 관리하는 방법
    • IPv6를 IPv4로 변환하는 게이트웨이와 동일한 Cloud Router를 사용하는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고 관리합니다.

    Cloud Router 자체를 업데이트하려면 gcloud beta compute routers updat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 Cloud NAT의 이중 스택 서브넷에 대해 IPv4 대 IPv4 및 IPv6 대 IPv4 변환을 모두 구성하려면 두 유형의 변환에 동일한 Cloud Router를 사용해야 합니다.

  • Cloud NAT는 다음 VM 인스턴스에서만 IPv6에서 IPv4로의 변환(미리보기)을 지원합니다.

    • 모든 2세대 이전 VM 인스턴스
    • M3 VM 인스턴스

    자세한 내용은 Compute Engine 용어집을 참고하세요.

시작하기 전에

Public NAT를 설정하기 전에 다음 태스크를 완료합니다.

IAM 권한 가져오기

Compute 네트워크 관리자 역할(roles/compute.networkAdmin)에는 Public NAT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권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개발 환경 준비

Google Cloud 콘솔 또는 gcloud CLI를 사용하여 공개 NAT를 설정할지 여부에 따라 Google Cloud에서 다음 리소스를 구성합니다.

콘솔

  1. Sign in to your Google Cloud account. If you're new to Google Cloud, create an account to evaluate how our products perform in real-world scenarios. New customers also get $300 in free credits to run, test, and deploy workloads.
  2. In the Google Cloud console, on the project selector page, select or create a Google Cloud project.

    Go to project selector

  3. Make sure that billing is enabled for your Google Cloud project.

  4. Enable the Compute Engine API.

    Enable the API

  5. In the Google Cloud console, on the project selector page, select or create a Google Cloud project.

    Go to project selector

  6. Make sure that billing is enabled for your Google Cloud project.

  7. Enable the Compute Engine API.

    Enable the API

gcloud

  1. Sign in to your Google Cloud account. If you're new to Google Cloud, create an account to evaluate how our products perform in real-world scenarios. New customers also get $300 in free credits to run, test, and deploy workloads.
  2. Install the Google Cloud CLI.
  3. To initialize the gcloud CLI, run the following command:

    gcloud init
  4. Create or select a Google Cloud project.

    • Create a Google Cloud project:

      gcloud projects create PROJECT_ID

      Replace PROJECT_ID with a name for the Google Cloud project you are creating.

    • Select the Google Cloud project that you created:

      gcloud config set project PROJECT_ID

      Replace PROJECT_ID with your Google Cloud project name.

  5. Make sure that billing is enabled for your Google Cloud project.

  6. Enable the Compute Engine API:

    gcloud services enable compute.googleapis.com
  7. Install the Google Cloud CLI.
  8. To initialize the gcloud CLI, run the following command:

    gcloud init
  9. Create or select a Google Cloud project.

    • Create a Google Cloud project:

      gcloud projects create PROJECT_ID

      Replace PROJECT_ID with a name for the Google Cloud project you are creating.

    • Select the Google Cloud project that you created:

      gcloud config set project PROJECT_ID

      Replace PROJECT_ID with your Google Cloud project name.

  10. Make sure that billing is enabled for your Google Cloud project.

  11. Enable the Compute Engine API:

    gcloud services enable compute.googleapis.com

DNS64 구성

Compute Engine VM 인스턴스의 경우 공개 NAT는 IPv6에서 IPv4로의 변환 또는 NAT64를 지원합니다. NAT64를 사용하려면 DNS64를 구성해야 합니다. Cloud DNS에서 DNS64를 구성하려면 DNS64 구성의 안내를 따르세요.

Public NAT 구성

소스 VPC 네트워크에서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어 Public NAT를 구성합니다. 각 게이트웨이는 단일 VPC 네트워크, 리전, Cloud Router와 연결됩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 때 다음 설정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설정 지원되는 옵션 설명
소스 엔드포인트 유형
  • VM 인스턴스, GKE 노드, 서버리스
  • 관리형 프록시 부하 분산기

기본적으로 Public NAT는 VM 인스턴스, GKE 노드, 서버리스 트래픽에 NAT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리소스에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려면 다음 섹션의 단계를 완료합니다.

리전 인터넷 네트워크 엔드포인트 그룹 (NEG)에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려면 다음에 대한 'Cloud NAT 게이트웨이 설정'을 참고하세요.

Cloud NAT에서 지원하는 Google Cloud 리소스의 전체 목록은 Cloud NAT 개요를 참고하세요.

소스 IP 버전
  • IPv4 서브넷 범위
  • IPv6 서브넷 범위
  • IPv4 및 IPv6 서브넷 범위
공개 NAT는 IPv4에서 IPv4(기본값) 및 IPv6에서 IPv4(미리보기)로의 변환을 지원합니다. NAT64를 구성하려면 DNS64도 구성해야 합니다.
  • IPv4 서브넷 범위를 구성하면 IPv4 전용 및 이중 스택 서브넷의 IPv4 전용 VM 인스턴스 및 이중 스택 VM 인스턴스 (IPv4 주소 사용)가 인터넷의 IPv4 대상과 통신할 수 있습니다.
  • IPv6 서브넷 범위(미리보기)를 구성하면 IPv6 전용 및 이중 스택 서브넷의 IPv6 전용 VM 인스턴스가 인터넷의 IPv4 대상과 통신할 수 있습니다.
  • IPv4 및 IPv6 서브넷 범위(미리보기)를 구성하는 경우 다음이 적용됩니다.
    • IPv4 전용 VM 인스턴스 및 이중 스택 VM 인스턴스(IPv4 주소 사용)는 인터넷의 IPv4 대상과 통신할 수 있습니다.
    • 이중 스택 VM 인스턴스는 IPv6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의 IPv4 대상과 통신할 수 없습니다.
    • IPv6 전용 VM 인스턴스는 인터넷의 IPv4 대상과 통신할 수 있습니다.
소스 서브넷

IPv4 트래픽의 경우:

  • 모든 서브넷의 기본 및 보조 범위
  • 모든 서브넷의 기본 범위
  • 커스텀

IPv6 트래픽의 경우:

  • 모든 서브넷
  • 커스텀

Public NAT는 지정된 VPC 네트워크의 리전에서 다음과 같은 서브넷 범위를 지원합니다.

  • IPv4 트래픽의 경우: 기본 및 보조 범위 NAT를 사용할 수 있는 서브넷과 서브넷 범위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 IPv6 트래픽의 경우: 내부 및 외부 범위 NAT를 사용할 수 있는 서브넷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IP 주소 할당
  • 자동(권장)
  • 수동

기본적으로 Public NAT는 자동 NAT IP 주소 할당을 사용합니다. 이 구성은 NAT 서비스를 리전에 제공하는 데 필요한 외부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합니다. 리전의 서브넷에 있는 외부 IP 주소가 없는 VM 인스턴스는 NAT를 통해 인터넷에 액세스됩니다. 자동 NAT IP 주소 할당을 사용하면 Google Cloud 에서 프로젝트의 IP 주소를 예약합니다. 이러한 주소는 프로젝트의 고정 IP 주소 할당량에 반영됩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에 NAT IP 주소를 수동으로 할당할 수 있습니다. 수동 할당을 선택하는 경우 패킷이 삭제되지 않도록 충분한 IP 주소를 할당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Public NAT IP 주소를 참조하세요.

네트워크 계층
  • 프리미엄
  • Standard
Public NAT를 사용하면 Cloud NAT 게이트웨이에서 외부 IP 주소를 할당할 네트워크 서비스 등급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등급은 현재 프로젝트 수준 등급으로 설정됩니다.
  • 자동 NAT IP 주소 할당으로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 때는 프리미엄 등급이나 표준 등급에서 NAT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 수동 NAT IP 주소 할당으로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 때 특정 조건에 따라 프리미엄 등급이나 표준 등급 또는 둘 다에서 NAT IP 주소를 수동으로 할당할 수 있습니다.
고급 구성
  • 동적 포트 할당
  • 엔드포인트 독립 매핑
  • 로깅
  • NAT 제한 시간

기본적으로 Public NAT는 정적 포트 할당을 사용합니다. 즉, 각 VM에 포트가 같은 수로 할당됩니다. 자동 또는 수동 NAT IP 주소 할당으로 동적 포트 할당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동적 포트 할당을 사용하면 Cloud NAT 게이트웨이에서 사용량을 기준으로 각 VM에 포트를 다른 수로 할당할 수 있습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에서 NAT 규칙이나 동적 포트 할당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엔드포인트 독립 매핑을 사용 설정할 수 없습니다.

로깅은 기본적으로 사용 중지되어 있습니다. NAT 제한 시간과 기본값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NAT 제한 시간을 참조하세요.

Cloud NAT 게이트웨이 만들기

콘솔

  1. Google Cloud 콘솔에서 Cloud NAT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Cloud NAT로 이동

  2. 시작하기 또는 Cloud NAT 게이트웨이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3. 게이트웨이 이름 필드에 게이트웨이 이름을 입력합니다.

  4. NAT 유형에서 Public 을 선택합니다.

  5. Cloud Router 선택 섹션에서 다음을 구성합니다.

    1. 네트워크 필드에서 게이트웨이를 만들 VPC 네트워크를 선택합니다.
    2. 리전 필드에서 게이트웨이의 리전을 설정합니다.
    3. Cloud Router 필드에서 Cloud Router를 선택하거나 리전에 만듭니다.
  6. Cloud NAT 매핑 섹션의 소스 엔드포인트 유형에서 VM 인스턴스, GKE 노드, 서버리스 옵션이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7. 소스 IP 버전 필드에서 소스 IP 버전을 선택한 다음 Cloud NAT를 사용하려는 소스 서브넷 범위를 구성합니다.

    • IPv4 서브넷 범위의 경우 소스 서브넷 필드에서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리전의 모든 서브넷에 대한 기본 및 보조 IP 범위에 Cloud NAT를 사용하려면 모든 서브넷의 기본 및 보조 IP 범위를 선택합니다.
      • 기본 IP 범위에만 Cloud NAT를 사용하려면 모든 서브넷의 기본 IP 범위를 선택합니다.
      • Cloud NAT를 사용할 수 있는 서브넷 IP 범위를 제한하려면 커스텀을 선택하고 다음을 수행합니다.
        1. 서브넷 섹션에서 서브넷을 선택합니다.
        2. IP 범위 목록에서 포함할 서브넷 IP 범위를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3. 선택사항: 추가 범위를 지정하려면 서브넷 및 IP 범위 추가를 클릭하고 다른 서브넷을 추가합니다.
    • IPv6 서브넷 범위의 경우 소스 서브넷 필드에서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리전의 모든 서브넷에 대한 내부 및 외부 IP 범위에 Cloud NAT를 사용하려면 모든 서브넷을 선택합니다.
      • Cloud NAT를 사용할 수 있는 서브넷을 제한하려면 커스텀을 선택하고 다음을 수행합니다.
        1. 서브넷 섹션에서 서브넷을 선택합니다.
        2. 선택사항: 서브넷을 추가하려면 서브넷 추가를 클릭하고 다른 서브넷을 추가합니다.
  8.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하여 NAT IP 주소 할당 유형과 네트워크 등급을 구성합니다.

    • 자동 NAT IP 주소 할당을 사용하려면 다음을 수행합니다.
      1. Cloud NAT IP 주소 목록에서 자동(권장)을 선택합니다.
      2. 네트워크 서비스 등급에서 Premium 또는 표준을 선택합니다.
    • 수동 NAT IP 주소 할당을 사용하려면 다음을 수행합니다.

      1. Cloud NAT IP 주소 목록에서 수동을 선택합니다.
      2. 네트워크 서비스 등급에서 Premium 또는 표준을 선택합니다.
      3. NAT에 사용할 고정 예약 외부 IP 주소를 선택하거나 만듭니다.

      4. 선택사항: 추가 IP 주소를 지정하려면 IP 주소 추가를 클릭한 후 추가 고정 예약 외부 IP 주소를 선택하거나 만듭니다.

      5. 선택사항: 커스텀 NAT 규칙을 만들려면 Cloud NAT 규칙 섹션을 구성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NAT 규칙 만들기를 참조하세요.

  9. 선택사항: 고급 구성 섹션에서 다음 설정을 조정합니다.

    • 로깅을 구성할지 여부입니다. 기본적으로 로깅 없음이 선택되어 있습니다.
    • Cloud NAT에서 포트를 할당하는 방식을 변경할지 여부입니다. 기본적으로 동적 포트 할당 사용 설정이 선택 해제되어 있습니다. 정적 포트 할당의 경우 VM 인스턴스당 최소 포트 수 필드는 64로 설정됩니다.
      • 정적 포트 할당의 VM 인스턴스당 최소 포트 수를 업데이트하려면 VM 인스턴스당 최소 포트 수 필드에 값을 지정합니다. 이 값은 2~57344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동적 포트 할당을 구성하려면 동적 포트 할당 사용 설정을 선택하고 VM 인스턴스당 최소 포트 수 필드(기본값: 32) 및 VM 인스턴스당 최대 포트 수 필드 (기본값: 65536)의 값을 선택합니다.
    • 프로토콜 연결의 NAT 제한 시간을 업데이트할지 여부입니다. 이러한 제한 시간 및 기본값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NAT 제한 시간을 참고하세요.
  10.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gcloud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려면 gcloud compute routers nats creat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모든 구성 옵션이 기본값으로 설정된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거나 게이트웨이 구성을 맞춤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 설정으로 Cloud NAT 게이트웨이 만들기

  1.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려는 리전에 Cloud Router를 만듭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려면 이 Cloud Router가 필요합니다.

  2. NAT를 구성하는 소스 서브넷 범위의 IP 버전에 따라 다음 명령어 중 하나를 실행하여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듭니다.

    • IPv4 전용 및 이중 스택 서브넷의 IPv4 소스 서브넷 범위에 Cloud NAT를 구성합니다.

      gcloud compute routers nats cre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auto-allocate-nat-external-ips \
          --nat-all-subnet-ip-ranges
      

      이 구성은 리전의 모든 IPv4 서브넷 범위에 NAT를 사용 설정합니다.

    • IPv6 전용 및 이중 스택 서브넷의 IPv6 소스 서브넷 범위에 Cloud NAT를 구성합니다(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cre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auto-allocate-nat-external-ips \
          --nat64-all-v6-subnet-ip-ranges
      

      이 구성은 리전의 모든 IPv6 서브넷 범위에 NAT를 사용 설정합니다.

    • IPv4 전용, 이중 스택, IPv6 전용 서브넷에서 IPv4 및 IPv6 소스 서브넷 범위 모두에 Cloud NAT를 구성합니다 (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cre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auto-allocate-nat-external-ips \
          --nat-all-subnet-ip-ranges \
          --nat64-all-v6-subnet-ip-ranges
      

      이 구성은 리전의 모든 IPv4 및 IPv6 서브넷 범위에 NAT를 사용 설정합니다.

    다음을 바꿉니다.

    • NAT_CONFIG: NAT 구성의 이름입니다.
    • NAT_ROUTER: 이전 단계에서 만든 Cloud Router의 이름입니다.
    • REGION: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사용할 리전입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의 구성 설정 맞춤설정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 때 기본 구성을 맞춤설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플래그 전체 목록은 IPv4 서브넷 범위의 게이트웨이를 만드는 경우 gcloud compute routers nats create 명령어를, IPv6 서브넷 범위 또는 IPv4 및 IPv6 서브넷 범위 모두의 게이트웨이를 만드는 경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create 명령어를 참고하세요(미리보기).

Compute Engine VM 인스턴스에 NAT64를 구성하는 경우에만 IPv6 서브넷 범위에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듭니다. GKE 노드, 서버리스 트래픽, 지역 인터넷 NEG의 경우 Public NAT는 IPv4 트래픽만 변환합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듭니다.

  1.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려는 리전에 Cloud Router를 만듭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려면 이 Cloud Router가 필요합니다.

  2. 맞춤설정할 각 매개변수를 지정하여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듭니다.

    다음 예에서는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 때 소스 서브넷, NAT IP 주소 할당 유형, 네트워크 등급, 포트 할당 유형을 맞춤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각 예시에서 실행하는 명령어는 게이트웨이를 만들려는 소스 서브넷 범위의 IP 버전에 따라 다릅니다.

    • NAT를 사용할 수 있는 소스 서브넷 제한. NAT를 사용할 수 있는 서브넷 및 서브넷 범위를 제한하는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려면 다음 명령어 중 하나를 실행합니다.

      • NAT를 사용할 수 있는 IPv4 소스 서브넷 범위를 제한합니다.

        gcloud compute routers nats cre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auto-allocate-nat-external-ips \
            --nat-custom-subnet-ip-ranges=IPV4_SUBNET_RANGES
        
      • NAT를 사용할 수 있는 IPv6 소스 서브넷 범위를 제한합니다(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cre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auto-allocate-nat-external-ips \
            --nat64-custom-v6-subnet-ip-ranges=IPV6_SUBNET_RANGES
        
      • IPv4 및 IPv6 소스 서브넷 범위를 모두 제한합니다(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cre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auto-allocate-nat-external-ips \
            --nat-custom-subnet-ip-ranges=IPV4_SUBNET_RANGES \
            --nat64-custom-v6-subnet-ip-ranges=IPV6_SUBNET_RANGES
        

      다음을 바꿉니다.

      • NAT_CONFIG: NAT 구성의 이름입니다.
      • NAT_ROUTER: 이전 단계에서 만든 Cloud Router의 이름입니다.
      • REGION: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사용할 리전입니다.
      • IPV4_SUBNET_RANGES: 서브넷 이름의 쉼표로 구분된 목록입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SUBNET_NAME_1:ALL,SUBNET_NAME_2:ALL: SUBNET_NAME_1SUBNET_NAME_2의 기본 및 모든 보조 서브넷 범위 모두 포함합니다.
        • SUBNET_NAME_1,SUBNET_NAME_2: SUBNET_NAME_1SUBNET_NAME_2의 기본 서브넷 범위만 포함합니다.
        • SUBNET_NAME:SECONDARY_RANGE_NAME: SUBNET_NAME 서브넷의 보조 범위 SECONDARY_RANGE_NAME을 포함합니다. SUBNET_NAME의 기본 범위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 SUBNET_NAME_1,SUBNET_NAME_2:SECONDARY_RANGE_NAME: SUBNET_NAME_1의 기본 범위와 SUBNET_NAME_2 서브넷의 지정된 보조 범위 SECONDARY_RANGE_NAME을 포함합니다.
      • IPV6_SUBNET_RANGES: 서브넷 이름을 쉼표로 구분한 목록입니다. 예를 들면 SUBNET_NAME_1,SUBNET_NAME_2입니다.
    • 수동 NAT IP 주소 할당 구성 수동 NAT IP 주소 할당으로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려면 다음 명령어 중 하나를 실행합니다.

      • IPv4 소스 서브넷 범위의 경우:

        gcloud compute routers nats cre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nat-all-subnet-ip-ranges \
            --nat-external-ip-pool=IP_ADDRESS_1,IP_ADDRESS_2
        
      • IPv6 소스 서브넷 범위(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cre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nat64-all-v6-subnet-ip-ranges \
            --nat-external-ip-pool=IP_ADDRESS_1,IP_ADDRESS_2
        

        IPv4 및 IPv6 서브넷 범위의 게이트웨이를 만드는 경우 이 명령어에 --nat-all-subnet-ip-ranges--nat64-all-v6-subnet-ip-ranges 플래그를 모두 지정합니다.

      다음을 바꿉니다.

      • NAT_CONFIG: NAT 구성의 이름입니다.
      • NAT_ROUTER: 이전 단계에서 만든 Cloud Router의 이름입니다.
      • REGION: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사용할 리전입니다.
      • IP_ADDRESS_1IP_ADDRESS_2: NAT에 사용할 고정 예약 외부 IP 주소입니다. --nat-external-ip-pool 플래그를 사용할 경우 외부 IP 주소를 하나 이상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등급을 지정합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가 외부 IP 주소를 할당하는 네트워크 등급을 지정하려면 다음 명령어 중 하나를 실행합니다.

      • IPv4 소스 서브넷 범위의 경우:

        gcloud compute routers nats cre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auto-allocate-nat-external-ips \
            --auto-network-tier=AUTO_NETWORK_TIER \
            --nat-all-subnet-ip-ranges
        
      • IPv6 소스 서브넷 범위(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cre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auto-allocate-nat-external-ips \
            --auto-network-tier=AUTO_NETWORK_TIER \
            --nat64-all-v6-subnet-ip-ranges
        

        IPv4 및 IPv6 서브넷 범위의 게이트웨이를 만드는 경우 이 명령어에 --nat-all-subnet-ip-ranges--nat64-all-v6-subnet-ip-ranges 플래그를 모두 지정합니다.

      다음을 바꿉니다.

      • NAT_CONFIG: NAT 구성의 이름입니다.
      • NAT_ROUTER: 이전 단계에서 만든 Cloud Router의 이름입니다.
      • REGION: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사용할 리전입니다.
      • AUTO_NETWORK_TIER: Cloud NAT 게이트웨이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할 때 사용할 네트워크 등급입니다. 허용되는 값은 PREMIUMSTANDARD입니다.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프로젝트 수준 기본값 등급이 Cloud NAT 게이트웨이와 연결됩니다.

        수동 NAT IP 주소 할당으로 네트워크 등급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게이트웨이에 IP 주소 여러 개를 할당하는 경우 할당하는 모든 IP 주소가 같은 네트워크 등급이어야 합니다.

    • 동적 포트 할당 구성 동적 포트 할당으로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려면 다음 명령어 중 하나를 실행합니다.

      • IPv4 소스 서브넷 범위의 경우:

        gcloud compute routers nats cre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auto-allocate-nat-external-ips \
            --enable-dynamic-port-allocation \
            [ --min-ports-per-vm=MIN_PORTS ] \
            [ --max-ports-per-vm=MAX_PORTS ] \
            --nat-all-subnet-ip-ranges
        
      • IPv6 소스 서브넷 범위(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cre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auto-allocate-nat-external-ips \
            --enable-dynamic-port-allocation \
            [ --min-ports-per-vm=MIN_PORTS ] \
            [ --max-ports-per-vm=MAX_PORTS ] \
            --nat64-all-v6-subnet-ip-ranges
        

        IPv4 및 IPv6 서브넷 범위의 게이트웨이를 만드는 경우 이 명령어에 --nat-all-subnet-ip-ranges--nat64-all-v6-subnet-ip-ranges 플래그를 모두 지정합니다.

      다음을 바꿉니다.

      • NAT_CONFIG: NAT 구성의 이름입니다.
      • NAT_ROUTER: 이전 단계에서 만든 Cloud Router의 이름입니다.
      • REGION: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려는 리전입니다.
      • 선택사항: MIN_PORTS: 각 VM에 할당할 최소 포트 수입니다. 동적 포트 할당이 설정된 경우 MIN_PORTS2의 승수여야 하며 32~32768 사이입니다. 기본값은 32입니다.
      • 선택사항: MAX_PORTS: 각 VM에 할당할 최대 포트 수입니다. MAX_PORTS2의 승수여야 하며 64~65536 사이입니다. MAX_PORTSMIN_PORTS보다 커야 합니다. 기본값은 65536입니다.

Terraform

Terraform 모듈을 사용하여 IPv4 트래픽용 NAT 게이트웨이로 Cloud Router를 만들 수 있습니다.

module "cloud_router" {
  source  = "terraform-google-modules/cloud-router/google"
  version = "~> 6.0"
  name    = "my-cloud-router"
  project = var.project_id
  network = module.vpc.network_name
  region  = "us-central1"

  nats = [{
    name                               = "my-nat-gateway"
    source_subnetwork_ip_ranges_to_nat = "LIST_OF_SUBNETWORKS"
    subnetworks = [
      {
        name                     = module.vpc.subnets["us-central1/test-subnet-01"].id
        source_ip_ranges_to_nat  = ["PRIMARY_IP_RANGE", "LIST_OF_SECONDARY_IP_RANGES"]
        secondary_ip_range_names = module.vpc.subnets["us-central1/test-subnet-01"].secondary_ip_range[*].range_name
      }
    ]
  }]
}

그렇게 해서 나온 NAT 게이트웨이는 다음 기본값을 사용합니다.

enable_endpoint_independent_mapping = true
icmp_idle_timeout_sec               = 30
min_ports_per_vm                    = 0
nat_ip_allocate_option              = "AUTO_ONLY"
source_subnetwork_ip_ranges_to_nat  = "ALL_SUBNETWORKS_ALL_IP_RANGES"
tcp_established_idle_timeout_sec    = 1200
tcp_transitory_idle_timeout_sec     = 30
udp_idle_timeout_sec                = 30
log_config {
    enable = true
    filter = "ALL"
}

Public NAT 구성 보기

콘솔

  1. Google Cloud 콘솔에서 Cloud NAT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Cloud NAT로 이동

  2. NAT 게이트웨이 세부정보, 매핑 정보, 구성 세부정보를 보려면 NAT 게이트웨이 이름을 클릭합니다.

  3. NAT 상태를 보려면 NAT 게이트웨이의 상태 열을 확인합니다.

gcloud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NAT 구성 세부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 Public NAT 게이트웨이 구성을 확인합니다.

    gcloud compute routers nats describe NAT_CONFIG \
        --router=ROUTER_NAME \
        --region=REGION
    

    다음을 바꿉니다.

    • NAT_CONFIG: NAT 구성 이름
    • ROUTER_NAME: Cloud Router의 이름
    • REGION: 설명할 NAT의 리전입니다. 지정하지 않으면 리전을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대화형 모드만 해당).
  • 각 VM의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포트-범위의 매핑을 확인합니다.

    gcloud compute routers get-nat-mapping-info ROUTER_NAME \
        --region=REGION
    
  • Public NAT 게이트웨이의 상태를 봅니다.

    gcloud compute routers get-status ROUTER_NAME \
        --region=REGION
    

Cloud NAT 게이트웨이에 할당된 외부 IP 주소 보기

자동으로 추가된 NAT IP 주소를 보려면 정적 외부 IP 주소 목록을 확인합니다. 이러한 주소는 프로젝트별 할당량으로 계산되지 않습니다.

콘솔

Google Cloud 콘솔에서 IP 주소 페이지로 이동한 후 외부 IP 주소를 클릭합니다.

IP 주소로 이동

gcloud

  • 모든 할당된 NAT IP 주소를 나열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gcloud compute routers get-nat-ip-info NAT_ROUTER \
      --region=REGION
    

    더 많은 예시는 gcloud compute routers get-nat-ip-info를 참조하세요.

Public NAT 구성 업데이트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설정한 후 요구사항에 따라 게이트웨이 구성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다음 섹션에는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는 태스크가 나와 있습니다.

NAT와 연결된 서브넷 및 IP 주소 리소스 업데이트

콘솔

  1. Google Cloud 콘솔에서 Cloud NAT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Cloud NAT로 이동

  2.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클릭합니다.

  3. 수정을 클릭합니다.

  4. NAT 매핑에서 소스커스텀으로 설정합니다.

  5. 서브넷을 선택합니다.

  6. IP 범위 목록에서 포함할 서브넷 IP 범위를 선택합니다.

  7. 추가 범위를 지정하려면 서브넷 및 IP 범위 추가를 클릭합니다.

  8. NAT IP 주소 드롭다운 목록을 클릭한 후 자동 또는 수동을 선택합니다.

  9. 수동을 선택하는 경우 외부 IP 주소를 지정합니다.

  10. 수동 IP 주소로 고가용성을 유지하려면 IP 주소 추가를 클릭하고 두 번째 주소를 추가합니다.

  11. 저장을 클릭합니다.

gcloud

gcloud compute routers nats updat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가 IPv6를 IPv4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경우(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update 명령어를 대신 사용하세요.

기존 Cloud NAT 게이트웨이의 소스 서브넷 범위를 업데이트하려면 업데이트하려는 서브넷 범위의 IP 버전에 따라 다음 명령어 중 하나를 실행합니다. 이 명령어는 게이트웨이와 연결된 외부 IP 주소도 업데이트합니다.

  • IPv4 소스 서브넷 범위 업데이트:

    gcloud compute routers nats upd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nat-external-ip-pool=IP_ADDRESS_1,IP_ADDRESS_2 \
        --nat-custom-subnet-ip-ranges=IPV4_SUBNET_RANGES
    
  • IPv6 소스 서브넷 범위 업데이트(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upd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nat-external-ip-pool=IP_ADDRESS_1,IP_ADDRESS_2 \
        --nat64-custom-v6-subnet-ip-ranges=IPV6_SUBNET_RANGES
    
  • IPv4 및 IPv6 소스 서브넷 범위를 모두 업데이트합니다(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upd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nat-external-ip-pool=IP_ADDRESS_1,IP_ADDRESS_2 \
        --nat-custom-subnet-ip-ranges=IPV4_SUBNET_RANGES \
        --nat64-custom-v6-subnet-ip-ranges=IPV6_SUBNET_RANGES
    

다음을 바꿉니다.

  • NAT_CONFIG: NAT 구성 이름
  • NAT_ROUTER: Cloud Router의 이름입니다.
  • REGION: NAT 게이트웨이의 리전입니다.
  • IP_ADDRESS_1IP_ADDRESS_2: NAT에 사용할 외부 IP 주소입니다. 외부 IP 주소를 하나 이상 지정할 수 있습니다.
  • IPV4_SUBNET_RANGES: 서브넷 이름을 쉼표로 구분한 목록입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SUBNET_NAME_1:ALL,SUBNET_NAME_2:ALL: SUBNET_NAME_1SUBNET_NAME_2의 기본 및 모든 보조 서브넷 범위 모두 포함합니다.
    • SUBNET_NAME_1,SUBNET_NAME_2: SUBNET_NAME_1SUBNET_NAME_2의 기본 서브넷 범위만 포함합니다.
    • SUBNET_NAME:SECONDARY_RANGE_NAME: SUBNET_NAME 서브넷의 보조 범위 SECONDARY_RANGE_NAME을 포함합니다. 이 서브넷 이름 목록에는 SUBNET_NAME의 기본 범위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 SUBNET_NAME_1,SUBNET_NAME_2:SECONDARY_RANGE_NAME: SUBNET_NAME_1의 기본 범위와 SUBNET_NAME_2 서브넷의 지정된 보조 범위 SECONDARY_RANGE_NAME을 포함합니다.
  • IPV6_SUBNET_RANGES: 서브넷 이름을 쉼표로 구분한 목록입니다. 예를 들면 SUBNET_NAME_1,SUBNET_NAME_2입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가 IPv4 및 IPv6 서브넷 범위를 모두 제공하는 경우 --clear-nat-subnet-ip-ranges 플래그를 사용하여 IPv4 서브넷 범위의 NAT를 사용 중지하거나 --clear-nat64-subnet-ip-ranges 플래그를 사용하여 IPv6 서브넷 범위의 NAT를 사용 중지할 수도 있습니다. IPv4 서브넷 범위 또는 IPv6 서브넷 범위 중 하나에 대해서만 NAT를 사용 중지할 수 있으며 둘 다 사용 중지할 수는 없습니다.

다음 예에서는 IPv6 서브넷 범위의 NAT를 사용 중지합니다.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upd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clear-nat64-subnet-ip-ranges

다음을 바꿉니다.

  • NAT_CONFIG: NAT 구성 이름
  • NAT_ROUTER: Cloud Router의 이름입니다.
  • REGION: NAT 게이트웨이의 리전입니다.

NAT와 연결된 서브넷 삭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특정 서브넷을 Cloud NAT 게이트웨이에서 삭제할 수 있습니다.

콘솔

  1. Google Cloud 콘솔에서 Cloud NAT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Cloud NAT로 이동

  2.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클릭합니다.

  3. 수정을 클릭합니다.

  4. NAT 매핑에서 삭제하려는 서브넷을 삭제합니다.

  5. 저장을 클릭합니다.

NAT와 연결된 외부 IP 주소 업데이트

특정 게이트웨이의 외부 IP 주소 목록을 변경하거나 수동 IP 할당에서 자동 IP 할당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Google Cloud 이전 주소가 삭제되고 새 주소가 추가됩니다. 이전 IP 주소의 기존 연결은 즉시 종료됩니다. 기존 IP 주소에서 새 연결을 차단하면서 기존 연결을 계속 허용하려면 NAT와 연결된 외부 IP 주소 드레이닝을 참고하세요.

콘솔

  1. Google Cloud 콘솔에서 Cloud NAT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Cloud NAT로 이동

  2.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클릭합니다.

  3. 수정을 클릭합니다.

  4. NAT IP 주소 드롭다운 목록을 클릭한 후 자동 또는 수동을 선택합니다.

  5. 수동을 선택하는 경우 외부 IP 주소를 지정합니다.

  6. 고가용성을 위해 IP 주소 추가를 클릭하고 두 번째 주소를 추가합니다.

  7. 저장을 클릭합니다.

gcloud

gcloud compute routers nats updat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가 IPv6를 IPv4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경우(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update 명령어를 대신 사용하세요.

gcloud compute routers nats upd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nat-external-ip-pool=IP_ADDRESS_1,IP_ADDRESS_2

다음을 바꿉니다.

  • NAT_CONFIG: NAT 구성 이름
  • NAT_ROUTER: Cloud Router의 이름
  • REGION: 업데이트할 NAT의 리전. 지정하지 않으면 리전을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대화형 모드만 해당).
  • IP_ADDRESS_1: 수동 외부 IP 주소
  • IP_ADDRESS_2: 다른 수동 외부 IP 주소

다른 네트워크 등급의 외부 IP 주소를 사용하여 NAT 업데이트

게이트웨이와 연결된 외부 IP 주소의 네트워크 등급을 변경하여 기존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할당된 외부 IP 주소의 네트워크 등급을 변경하여 NAT 업데이트

기존 Cloud NAT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있고 자동으로 할당된 외부 IP 주소의 네트워크 등급을 변경하면Google Cloud 에서 이전에 할당된 IP 주소를 삭제하고 지정된 네트워크 등급의 IP 주소로 바꿉니다. 이전에 할당된 IP 주소의 기존 연결은 즉시 종료됩니다.

콘솔

  1. Google Cloud 콘솔에서 Cloud NAT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Cloud NAT로 이동

  2. IP 주소가 자동으로 할당된 Cloud NAT 게이트웨이 이름을 클릭합니다.

  3. 수정을 클릭합니다.

  4. 네트워크 서비스 등급에서 프리미엄 또는 표준을 선택합니다.

  5. 저장을 클릭합니다.

gcloud

gcloud compute routers nats updat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가 IPv6를 IPv4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경우(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update 명령어를 대신 사용하세요.

gcloud compute routers nats upd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auto-allocate-nat-external-ips
    --auto-network-tier=AUTO_NETWORK_TIER

다음을 바꿉니다.

  • NAT_CONFIG: NAT 구성 이름

  • NAT_ROUTER: Cloud Router의 이름

  • REGION: 만들려는 NAT의 리전. 지정하지 않으면 리전을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대화형 모드만 해당).

  • AUTO_NETWORK_TIER: Cloud NAT 게이트웨이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할 때 사용할 네트워크 등급. 허용되는 값은 PREMIUMSTANDARD입니다.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프로젝트 수준 기본값 등급이 Cloud NAT 게이트웨이와 연결됩니다.

수동으로 할당된 IP 주소의 네트워크 등급을 변경하여 NAT 업데이트

다른 등급의 외부 IP 주소를 수동으로 지정하여 기존 NAT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특정 조건에 따라 표준 등급 또는 프리미엄 등급 또는 둘 다에서 외부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다른 등급의 외부 IP 주소를 지정하기 전에 먼저 기존 연결이 계속되고 기존 IP 주소에서 새 연결을 방지하도록 기존 IP 주소를 드레이닝합니다.

콘솔

  1. Google Cloud 콘솔에서 Cloud NAT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Cloud NAT로 이동

  2. IP 주소가 수동으로 할당된 Cloud NAT 게이트웨이 이름을 클릭합니다.

  3. 수정을 클릭합니다.

  4. 현재 선택한 등급과 다른 등급의 IP 주소를 지정하려면 기존의 모든 IP 주소를 삭제하거나 모든 기존 IP 주소에 드레이닝을 사용 설정합니다.

    기존 IP 주소에 드레이닝이 중지된 경우에는 네트워크 등급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5. 네트워크 서비스 등급에서 프리미엄 또는 표준을 선택합니다.

  6. 사용 가능한 활성 IP 주소 목록에서 외부 IP 주소를 선택합니다.

  7. (선택사항) IP 주소를 더 추가하려면 IP 주소 추가를 클릭합니다.

  8. 저장을 클릭합니다.

gcloud

기존 외부 IP 주소를 다른 네트워크 등급의 새 주소로 수동으로 변경하여 기존 게이트웨이를 업데이트하려면 gcloud compute routers nats update 명령어--nat-external-ip-pool 플래그를 사용합니다. 게이트웨이가 IPv6를 IPv4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경우(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update 명령어를 대신 사용하세요.

기존 외부 IP 주소를 수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NAT와 연결된 외부 IP 주소 업데이트를 참고하세요.

NAT와 연결된 외부 IP 주소 드레이닝

수동으로 구성된 IP 주소를 삭제하기 전에 기존 연결이 중단되지 않도록 드레이닝 할 수 있습니다. IP 주소를 드레이닝하면 모든 기존 연결은 자연적으로 만료될 때까지 계속 허용됩니다. 기존 로그를 보고 기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드레이닝한 IP 주소에는 새 연결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IP 주소는 NAT 구성과 연결된 상태로 유지됩니다.

NAT 구성에는 활성 주소가 최소 하나 이상 있어야 합니다. 즉, 구성의 모든 IP 주소를 드레이닝할 수 없습니다.

NAT IP 주소의 상태를 확인하려면 NAT 상태를 표시하면 됩니다.

콘솔

  1. Google Cloud 콘솔에서 Cloud NAT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Cloud NAT로 이동

  2.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클릭합니다.

  3. 수정을 클릭합니다.

  4. NAT IP 주소에서 IP 주소 옆에 있는 IP 드레이닝 값을 켜기로 설정합니다.

  5. 저장을 클릭합니다.

gcloud

gcloud compute routers nats updat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가 IPv6를 IPv4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경우(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update 명령어를 대신 사용하세요.

주소를 드레이닝하려면 동일한 명령어에서 주소를 활성 풀에서 드레이닝 풀로 이동해야 합니다. 단일 명령어의 드레이닝 풀에 추가하지 않고 활성 풀에서 삭제하면 IP 주소가 서비스에서 삭제되고 기존 연결이 즉시 종료됩니다.

IP 주소를 드레이닝 풀에서 활성 풀로 이동하면 IP 주소 드레이닝이 취소됩니다. NAT IP 주소를 두 풀에서 모두 제거하면 NAT 구성에서 연결 해제됩니다.

이 명령어는 NAT 구성의 다른 필드를 변경하지 않습니다.

gcloud compute routers nats upd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nat-external-ip-pool=IP_ADDRESS_2 \
    --nat-external-drain-ip-pool=IP_ADDRESS_1

각 항목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nat-external-ip-pool=IP_ADDRESS_2: IP_ADDRESS_1를 생략하도록 활성 풀을 업데이트
  • --nat-external-drain-ip-pool=IP_ADDRESS_1: 드레이닝 풀에 IP_ADDRESS_1를 추가

다음을 바꿉니다.

  • NAT_CONFIG: NAT 구성 이름
  • NAT_ROUTER: Cloud Router의 이름
  • REGION: 업데이트할 NAT의 리전. 지정하지 않으면 리전을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대화형 모드만 해당).
  • IP_ADDRESS_2: IP 주소입니다.
  • IP_ADDRESS_1: 다른 IP 주소입니다.

엔드포인트 매핑 업데이트

게이트웨이의 엔드포인트 독립 매핑을 사용 설정 또는 사용 중지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 옵션은 사용 중지되어 있습니다. 엔드포인트 독립 매핑을 사용 설정에서 중지로(또는 중지에서 사용 설정으로) 전환할 때는 기존 연결이 중단되지 않습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에서 NAT 규칙이나 동적 포트 할당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엔드포인트 독립 매핑을 사용 설정할 수 없습니다.

콘솔

  1. Google Cloud 콘솔에서 Cloud NAT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Cloud NAT로 이동

  2. Cloud NAT 게이트웨이를 클릭합니다.

  3. 수정을 클릭합니다.

  4. 고급 구성을 클릭합니다.

  5. 엔드포인트 종속 매핑을 사용 설정하려면 엔드포인트 독립 매핑 사용 설정 체크박스를 선택합니다. 엔드포인트 독립 매핑을 사용 중지하려면 체크박스를 선택 해제합니다.

  6. 저장을 클릭합니다.

gcloud

gcloud compute routers nats updat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Cloud NAT 게이트웨이가 IPv6를 IPv4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경우(미리보기) gcloud beta compute routers nats update 명령어를 대신 사용하세요.

gcloud compute routers nats update NAT_CONFIG \
    --router=NAT_ROUTER \
    --region=REGION \
    [--enable-endpoint-independent-mapping | --no-enable-endpoint-independent-mapping]

다음을 바꿉니다.

  • NAT_CONFIG: NAT 구성 이름
  • NAT_ROUTER: Cloud Router의 이름
  • REGION: 업데이트할 NAT의 리전. 지정하지 않으면 리전을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대화형 모드만 해당).

로깅 업데이트

기존 Cloud NAT 게이트웨이의 로깅을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하려면 로깅 구성을 참조하세요.

Public NAT 구성 삭제

게이트웨이 구성을 삭제하면 Cloud Router에서 NAT 구성이 삭제됩니다. 라우터 자체는 삭제하지 않습니다.

콘솔

  1. Google Cloud 콘솔에서 Cloud NAT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Cloud NAT로 이동

  2. 삭제하려는 게이트웨이 구성 옆의 체크박스를 선택합니다.

  3. 메뉴에서 삭제를 클릭합니다.

gcloud

gcloud compute routers nats delete NAT_CONFIG \
    --router=ROUTER_NAME \
    --region=REGION

다음을 바꿉니다.

  • NAT_CONFIG: NAT 구성 이름
  • ROUTER_NAME: Cloud Router의 이름
  • REGION: 삭제할 NAT의 리전입니다. 지정하지 않으면 리전을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대화형 모드만 해당).

할당량 및 한도

할당량 및 한도 정보는 할당량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설정 예시

다음 예에서는 Google Cloud로 Cloud NAT를 테스트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다음 단계